한국 입국 후 해야 할 일
한국 입국 한 후에 필수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혹은 한국에서만 할 수 있었던 일들은 무엇이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1차 검사(필수)
자가격리면제로 한국에 입국한 모든 사람들은 도착 당일 혹은 그 다음날 까지 관할 보건소에서 코로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공항에서 한국 거주지 주소를 써내기 때문에 입국자들의 정보는 관할 보건소로 전달이 되고 관리하게 됩니다. 저는 한국 전화번호가 없었기 때문에 가족의 번호를 써서 냈고 이 번호로 보건소에서 연락이 오게 됩니다.
1차 검사를 받지 않으면 자가격리면제의 효력이 바로 사라지고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고 하니 꼭 보건소로 받으러 가세요.
신분증으로는 여권을 챙겨갔었는데, 왜냐하면 여권에 해외접종자와 PCR검사 완료자라는 스티커를 붙여주기 때문입니다. 지자체마다 다르겠지만 크게 사람이 붐비지 않아 괜찮았습니다.
검사를 받은 후에는 집으로 바로 귀가해야 하며 다음날 결과를 받을 때까지는 외출을 자제해야 합니다.
2. 은행관련 업무
1차검사에서 '음성'결과를 받게 되면 어느정도 자유로운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해외에서 살면서 가장 큰 고난과 역경은 다름아닌 '공인인증서'와 '핸드폰 본인인증'일텐데요, 저는 이번에 한국에 들어왔을 때 이 두가지를 모두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일단 한국 실비보험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동이체를 위한 계좌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해지 할 생각이었습니다. 저는 대구은행이 주거래 은행이어서 이곳에서 체크카드와 인터넷뱅킹 모두를 다시 신청하고 범용공인인증서까지 만들었습니다. 본인인증을 위한 인증서는 범용공인인증서만 유효하므로 4400원을 들일 가치가 있습니다.
요즘 한국은 은행계좌를 만들거나 해지가 매우 어렵습니다. 저는 몇년동안 거래가 없어서 당연히 모든 계좌가 잠겨있는 상태였구요. 가장 먼저 갔던건 국민은행이었는데 여권 하나만으로는 신분증의 효력이 없고 등본이 함께 있어야 은행업무가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한꺼번에 계좌조회가 가능하고 이체는 물론 해지까지 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쉽게 해결했습니다. 한국 핸드폰 번호가 없더라도 범용공인인증서만 있으면 모든 업무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은행업무를 먼저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https://www.payinfo.or.kr/payinfo.html
3. 알뜰폰
한국에서 핸드폰 번호가 없으면 불편한 점이 너무 많습니다. 특히 요즘은 어디를 들어가든 핸드폰으로 인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에는 짧게 머무르는 동안과 캐나다에 돌아가서는 가끔 본인인증 문자를 받기 위해서 한국 핸드폰이 무조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알뜰폰을 선택했습니다.
저는 헬로모바일을 가입했는데 가격대비 조건이 좋았습니다. 저는 핸드폰 번호가 아예 없었기 때문에 신규가입을 했고 본인인증은 범용공인인증서로 가능했습니다. 만약 상황이 여의치 않는다면 신분증을 들고 우체국을 방문하면 알뜰폰 요금제 가입이 가능합니다.
유심칩은 퀵으로 가입 후 2시간 이내에 수령을 했고 신규가입이기 때문에 따로 개통절차 없이 유심칩만 교체하여 바로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이제부터 우리는 핸드폰 본인인증이 가능합니다.
https://direct.lghellovision.net/main.do
4. 해외접종등록
해외에서 백신접종을 했다면 한국 시스템에 자동으로 등록되지 않기 때문에 근처 보건소나 지자체에 가서 직접 등록을 해줘야 합니다. 제가 살고있는 대구 달서구 같은 경우는 달서구청 4층에서 관련 업무를 합니다. 신분증과 백신접종증명서류를 가져가면 시스템에 등록을 해주며 친절하게도 COOV 어플 설치와 인증 등을 도와줍니다. 어플을 이용하지 않으실 분들은 접종증명서 서류를 요청하면 됩니다.
저는 health gateway에서 PDF로 다운받아 인쇄한 종이를 접종증명서류로 들고 갔는데 제 동거인은 접종 당시 받은 명함크기의 카드로 등록을 했다고 하니 굳이 인쇄를 안하셔도 될 것 같아요. 나라마다, 주마다 양식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크게 상관은 없는 것 같습니다.
5. 2차 검사(필수)
입국하고 6~7일째에 2차검사가 있습니다. 이때도 물론 관할 보건소에서 잊지말고 꼭 검사를 받으라고 연락이 몇번 씩 옵니다. 2차 검사를 받고 난 후 바로 집으로 귀가해야 하며 검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되도록 집에 있어달라고 신신당부를 하셨어요. 저를 담당하셨던 분은 음성 결과가 나오면 스크린샷과 함께 검사받은 날짜와 장소를 문자로 보내달라고 하셨습니다. 물론 이건 지자체와 담당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 2차 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면 완전히 자유의 몸입니다.
저는 1차와 2차 모두 검사를 받은 다음날 오전 8시 30분쯤 문자로 결과를 받았고 음성이었습니다.
6. 실비보험 환급
해외에서 장기체류를 하는 경우는 실비보험을 어느정도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해외에 있는 동안 한국 병원을 갈 수 없고 자연히 실비청구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해외보장성 보험같은 경우는 보험회사에 따로 문의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해외에 3개월 이상 체류를 하고 해외에서 실비청구를 한 적이 없는 사람은 환급대상입니다. 201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이 때부터 입국한 날까지 일할계산해서 냈던 보험비를 일부 환급해 줍니다.
전화로 신청하고 서류들을 팩스로 보내도 되고 저는 직접 방문을 했습니다. 신분증과 출입국증명서를 가지고 고객센터를 가면 날짜 확인 후 바로 계좌로 입금을 해줍니다. 저는 약 80만원 가량을 환급받아서 상당히 요긴하게 잘 쓰고 있습니다.
7. 운전면허
저는 한국 운전면허증을 캐나다 운전면허와 바꾼 상태여서 현재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주민등록증이 있지만 이건 가끔 한국에서 부모님이 제 대신 서류 등을 발급받을 때가 있어서 한국에 두고 있고, 한국에 들어왔을 때 운전할 일이 있어 한국 운전면허증이 없으니까 많이 불편하더라구요. 마침 갱신기간도 지나고 해서 재발급을 받으려고 합니다.
적성검사가 필요없으면 신분증만 가지고 바로 근처 경찰서나 운전면허 시험장을 찾아가면 되고, 만약 적성검사 기간이라면 증명사진이 필요합니다.
저는 운전면허가 6월에 만료되었기 때문에 과태료 2만원이 발생해서 납부하였고 영문혼용 면허증은 필요없기 때문에 한글 운전면허증을 신청하고 8000원을 냈습니다.
운전면허가 10년 주기이기는 하지만 갱신기간에 맞춰 한국에 들어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족에게 위임해서 만료되기 전에 갱신할 수 있다고 합니다.
8. 국민연금
한국에서 회사생활을 하신 분이면 국민연금에 가입이 되어 있을텐데요, 저는 해외체류로 최대 3년 국민연금 유예를 신청 해 놓았고 매번 연장을 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번에도 기간이 다 되어서 유예를 했고 대리인이 전화로도 유예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국민연금은 유지를 할 지 아니면 일시금으로 반환을 받을 지 고민중입니다. 이미 캐나다에서도 연금이 나가고 있으므로 국민연금을 납부한다면 이중으로 돈이 나가게 되니 부담이 되니까요. 유지를 하게 되면 이미 납부한 기간을 제외한 최소 납입기간 10년 중 7년 정도를 더 납입해야하고, 반환을 받게 되면 외교부에 재외국민 등록을 하거나 한국 국적을 상실해야만 합니다.
아직 수십년은 더 기다려야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데 어떤 방법이 최선인지 여전히 판단이 서지 않아서 일단 국민연금은 더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관련 글 보러가기
'캐나다이야기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캐나다 공휴일 알아보기 (0) | 2022.11.30 |
---|---|
캐나다에서 코로나 걸린 후기(먹었던 약들) (1) | 2022.09.30 |
캐나다에서 한국지방(대구) 입국하기 (0) | 2021.11.22 |
캐나다 귀국선물 추천 (0) | 2021.10.18 |
소니 WF-1000XM4후기 (노이즈캔슬링이 안될 때) (0) | 2021.08.12 |
댓글